삼중음성 유방암 완전관해에 대해 알아보기
1. 삼중음성 유방암(TNBC)이란?
삼중음성 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은 여성의 유방암 중 약 10~15%를 차지하는 유형으로, 호르몬 수용체(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와 HER2(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가 모두 음성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유방암 치료에서 호르몬 요법이나 표적 치료는 호르몬 수용체나 HER2의 발현을 기반으로 하지만, 삼중음성 유방암은 이러한 치료 방법이 효과가 없기 때문에 치료가 까다롭고 예후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삼중음성 유방암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발병 연령이 젊다 – 다른 유형의 유방암보다 상대적으로 젊은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합니다.
- 공격성이 높다 – 빠르게 성장하고 전이 속도가 빠르며, 재발 위험이 높습니다.
-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다 – 호르몬 요법이나 HER2 표적 치료가 효과가 없기 때문에, 주로 화학요법과 면역요법이 사용됩니다.
2. 완전관해(CR, Complete Response)란?
완전관해란 암 치료 후 영상 검사(MRI, PET-CT 등), 신체 검사 및 조직 검사를 통해 암세포가 완전히 사라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완전관해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
- 영상 검사에서 종양이 보이지 않음
- 조직 검사에서 암세포가 발견되지 않음
- 임상적 징후나 증상이 사라짐
완전관해는 암이 완전히 치료되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질병의 진행이 멈추고 치료 반응이 매우 좋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특히 삼중음성 유방암의 경우 완전관해가 장기 생존율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3.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완전관해의 의미
삼중음성 유방암은 치료가 어렵고 재발 위험이 높기 때문에 완전관해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완전관해가 달성되면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재발 위험 감소 – 완전관해가 달성된 경우 재발 위험이 유의미하게 낮아집니다.
- 생존율 증가 – 완전관해를 달성한 환자는 장기 무병 생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치료 효과 극대화 – 완전관해는 항암제나 면역요법이 효과적으로 작용했다는 증거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 중 치료 후 완전관해를 달성한 경우 재발률이 현저히 낮고, 5년 생존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치료 목표는 완전관해 달성에 초점이 맞춰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완전관해를 달성하기 위한 치료법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완전관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치료 전략이 사용됩니다.
(1) 화학요법(Chemotherapy)
화학요법은 삼중음성 유방암의 기본 치료법으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파괴합니다. 완전관해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약제가 사용됩니다.
- 아드리아마이신(Doxorubicin)
-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 파클리탁셀(Paclitaxel)
- 카보플라틴(Carboplatin)
연구에 따르면 화학요법을 통해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약 30~40%가 완전관해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2) 면역요법(Immunotherapy)
면역요법은 최근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치료법입니다.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s)를 사용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공격하도록 유도합니다.
-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 PD-1 억제제
-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 PD-L1 억제제
특히 펨브롤리주맙은 화학요법과 병행했을 때 완전관해율이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수술(Surgery)
삼중음성 유방암의 경우, 보조 화학요법 후 종양의 크기가 줄어들면 유방 보존술이나 전절제술이 시행됩니다. 완전관해가 달성된 경우에도 재발 위험을 낮추기 위해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4) 방사선 치료(Radiotherapy)
수술 후 잔여 암세포가 남아 있거나 재발 위험이 높은 경우 방사선 치료가 추가됩니다. 방사선 치료는 국소 재발을 방지하고 완전관해 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완전관해 후 관리 및 예후
완전관해가 달성되었다 하더라도 삼중음성 유방암의 경우 재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정기적인 추적 검사 – 완전관해 후에도 정기적인 영상 검사(MRI, 초음파 등)와 피검사를 통해 재발 여부를 확인합니다.
- 생활 습관 관리 – 금연, 절주, 건강한 식습관 및 규칙적인 운동은 재발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심리적 관리 – 암 환자는 완전관해 후에도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겪을 수 있으므로 심리 상담 및 지지 그룹 참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 결론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완전관해는 치료 성과와 예후를 결정짓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공격적인 성향과 높은 재발 위험 때문에 완전관해 달성이 쉽지 않지만, 화학요법, 면역요법, 수술 및 방사선 치료의 조합을 통해 완전관해율이 점차 향상되고 있습니다.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는 완전관해 달성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장기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유방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르몬유방암 버제니오 복용 이유와 효과 (0) | 2025.03.15 |
---|---|
유방암 호르몬치료 꼭 해야하는걸까 (0) | 2025.03.15 |
유방암 콩 먹으면 도움이 되는지 팩트체크 (1) | 2025.03.13 |
삼중음성 유방암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 2025.03.12 |
유방암 원인에 무엇이 있을까 ? (1)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