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방암 항암치료의 개요
유방암은 전 세계 여성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암 중 하나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유방암 치료는 종양의 크기, 병기, 호르몬 수용체 상태, HER2(인간 상피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2)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유방암 치료는 크게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화학요법), 표적 치료, 호르몬 치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에서도 항암 치료는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하는 치료 방법으로, 유방암의 진행 상태나 암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약제가 사용된다. 항암 치료는 종종 수술 전이나 후에 보조 요법으로 시행되며, 전신에 작용해 전이된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항암 치료는 환자의 체력 상태, 부작용 위험, 유방암의 유형 및 병기에 따라 맞춤형으로 진행된다. 다음에서는 유방암 항암 치료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2. 유방암 항암치료의 종류
유방암에서 사용되는 항암 치료는 크게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1) 화학요법 (Chemotherapy)
화학요법은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방해하는 약물을 사용해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치료법이다. 일반적으로 정맥 주사를 통해 약물을 투여하며, 경우에 따라 경구 복용 약물도 사용된다.
✅ 화학요법의 주요 목적
- 수술 전 종양 크기를 줄여 수술이 용이하도록 함 (신보조요법)
- 수술 후 남아 있을 수 있는 암세포를 제거해 재발 위험 감소 (보조요법)
- 전이성 유방암 치료
✅ 대표적인 화학요법 약제
- 안트라사이클린 계열(Antacyclines):
- 대표 약제: 독소루비신(Doxorubi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 DNA 복제를 방해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함.
- 심장 독성이 있을 수 있어 심장 기능 모니터링이 필요함.
- 탁산 계열(Taxanes):
- 대표 약제: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 세포 분열 시 미세소관 형성을 방해해 세포 증식을 억제함.
- 말초신경병증(손발 저림 등)이 부작용으로 발생할 수 있음.
- 알킬화제(Alkylating agents):
- 대표 약제: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 암세포의 DNA를 손상시켜 증식을 막음.
- 골수 억제와 구역, 구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
- 항대사제(Antimetabolites):
- 대표 약제: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플루오로우라실(5-FU)
- DNA 합성을 방해하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
- 위장관 장애 및 골수 억제가 주요 부작용임.
2) 표적 치료 (Targeted Therapy)
표적 치료는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특정 단백질이나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여 치료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인 화학요법보다 선택성이 높아 정상 세포에 대한 손상이 적고 부작용이 비교적 적다.
✅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제
-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허셉틴):
- HER2 단백질에 결합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함.
- 심장 독성이 부작용으로 발생할 수 있음.
- 퍼투주맙(Pertuzumab):
- HER2 단백질의 이합체 형성을 억제해 세포 성장을 막음.
- 트라스투주맙과 병용해 사용됨.
- 라파티닙(Lapatinib):
- HER2와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을 동시에 억제함.
- 경구 복용 형태로 제공됨.
✅ PARP 억제제
- 올라파립(Olaparib):
- BRCA1, BRCA2 변이가 있는 환자에서 암세포의 DNA 복구를 억제함.
- 골수 억제 및 위장 장애가 부작용으로 발생할 수 있음.
3) 호르몬 치료 (Hormonal Therapy)
호르몬 수용체 양성(ER+/PR+) 유방암에서 사용된다. 암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의 작용을 차단하거나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 항에스트로겐제(Anti-estrogens):
- 타목시펜(Tamoxifen):
-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해 작용을 억제함.
- 자궁 내막암, 혈전 생성 위험 증가 가능.
✅ 아로마타제 억제제(Aromatase Inhibitors):
-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레트로졸(Letrozole), 엑스메스테인(Exemestane):
- 폐경 후 여성에서 에스트로겐 합성을 억제함.
- 관절통, 골다공증이 부작용으로 발생 가능.
4) 면역치료 (Immunotherapy)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공격하도록 돕는 치료법이다. 유방암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면역관문억제제(Checkpoint inhibitors):
-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 PD-1 수용체를 차단해 면역세포의 항암 활성을 강화함.
-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TNBC)에서 사용됨.
3. 유방암 항암치료의 부작용 및 관리
항암 치료는 전신 치료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골수 억제: 백혈구 감소, 빈혈, 출혈 위험 증가
- 탈모: 화학요법 중 흔히 발생
- 구역 및 구토: 소화기계 자극으로 발생
- 신경병증: 손발 저림, 근육 약화
- 피로: 전신 상태의 악화로 발생
부작용 관리는 적절한 약물 처방, 영양 관리, 운동 등을 통해 완화할 수 있다.
4. 결론
유방암 항암 치료는 암의 유형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진행된다. 최신 연구와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유방암의 생존율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며, 표적 치료 및 면역 치료의 발전으로 환자의 예후가 더욱 향상되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이 발전했으면 좋겠다. 환자들에게 더 많은 희망을 주었으면 좋겠다.
'유방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 수술 후 손저림 증상 원인과 대처법 (0) | 2025.03.23 |
---|---|
유방암 수술후 도수치료 얼마나 효과적일까 (0) | 2025.03.23 |
유방암 수술후 미세침윤 의미 확인하기 (0) | 2025.03.21 |
유방암 2기 어떤 치료과정을 거치고 예후는 ? (0) | 2025.03.19 |
삼중음성 유방암 키트루다 비싼데 꼭 써야하는 이유 (0) | 2025.03.16 |